숨은 돈, 놓치지 마세요!
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한 푼이 아쉬운 분들 많으시죠?
정부에서는 소득 수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정부 지원금을 운영 중이에요. 하지만 복잡한 조건 때문에 많은 분들이 놓치거나 몰라서 못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.
오늘은 2025년 현재, 소득별로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지원금을 정리해드릴게요.
내가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이 있는지 꼭 조회해보세요!
1. 저소득층 (중위소득 50% 이하)
소득이 낮은 가구를 위한 생계 및 생활비 보조 중심의 정부지원입니다.
🟢 생계급여
- 대상: 중위소득 30% 이하 가구
- 지급액: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 (1인가구 기준 월 약 70~80만 원)
- 신청처: 주소지 주민센터
🟢 주거급여
- 대상: 중위소득 47% 이하 가구
- 혜택: 월세 지원 or 전세금 대출 지원
- 특징: 소득에 따라 임차료 일정 부분 정부가 보조
🟢 기초연금
- 대상: 만 65세 이상 & 소득인정액 하위 70% 노인
- 지급액: 최대 월 334,000원 (2025년 기준)
2. 중소득층 (중위소득 50~100%)
이 구간은 정부지원금의 사각지대라고 느끼시는 분들이 많지만,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혜택이 꽤 많아요!
🟡 근로장려금(EITC)
- 대상: 연간 총소득 2,400만 원 이하(1인가구 기준)
- 지급액: 최대 300만 원+
- 지급시기: 연 1회 (정기신청은 5월, 반기 신청도 가능)
🟡 자녀장려금
- 대상: 자녀가 있는 가정 & 일정 소득 이하
- 지급액: 자녀 1인당 최대 80만 원
- 특징: 근로장려금과 함께 신청 가능
🟡 에너지 바우처
- 대상: 중위소득 60% 이하 & 에너지 취약계층
- 지원내용: 전기, 도시가스, 등유 등 요금 바우처 제공
3. 맞벌이·자녀 양육 가구
소득은 있지만 지출이 많은 맞벌이 부부, 자녀가 있는 가구를 위한 정부지원금도 있습니다.
🟠 영아수당
- 대상: 만 0세~1세 자녀를 둔 가정
- 지급액: 매월 100만 원 (현금 30 + 바우처 70)
🟠 아동수당
- 대상: 만 0~8세(초등 2학년 이하) 아동
- 지급액: 매월 10만 원
🟠 육아휴직 급여
- 대상: 부모 모두 가능 (부부 순차 사용 시 '아빠 육아 보너스제' 적용)
- 지급액: 월 최대 200만 원 (초기 3개월 100% 보전)
4.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
코로나 이후 생계지원성 지원금 외에도, 여전히 노란우산공제, 고용보험 등을 통한 정부지원금 제도가 있습니다.
🔵 노란우산공제 희망장려금
- 대상: 연소득 4,800만 원 이하 소상공인
- 혜택: 연 최대 36만 원 추가지원
- 특징: 공제금 세액공제 + 장기저축 기능
🔵 프리랜서 고용안정 지원
- 대상: 고용보험 미가입 & 일정 소득 이하
- 내용: 긴급고용안정지원금, 자녀 돌봄비 등 제공
5. 중위소득 기준표 (2025년 기준)
꼭 확인하세요!
- 대부분 복지로(https://www.bokjiro.go.kr) 혹은 정부24(https://www.gov.kr) 에서 조회 및 신청 가능
-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는 제도가 많으므로, 시기 확인 필수
- 지자체별 추가 지원금도 있으니, 시·군·구청 공지사항도 함께 체크하기
마무리
정부지원금은 꼭 저소득층만을 위한 제도는 아닙니다.
맞벌이, 자녀 양육, 1인가구, 자영업자 등 다양한 계층이 상황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존재해요.
올해 놓치지 말고,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!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소상공인 재도약 지원금 총정리 (0) | 2025.05.20 |
---|---|
2025 청년 월세 지원 총정리 (0) | 2025.05.20 |
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소득세 계산 방법 (0) | 2025.05.18 |
종합소득세 신고 대상과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(0) | 2025.05.18 |
2025년 신용카드 추천과 신용카드별 혜택 알아보기 (0) | 2025.05.18 |